본문 바로가기

월급별 세금, 나의 실수령액은 얼마나 될까?

지식사전관리자 2025. 2. 20.
반응형

 

월급별 세금, 내 월급에서 얼마나 세금이 공제될까?

월급 공제 세금,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반응형

월급에서 공제되는 세금에는 크게 4대 보험료와 소득세, 지방세가 있어요. 4대 보험료에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이 포함되는데요. 이 중에서 근로자가 직접 부담하는 것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이에요.
국민연금은 근로자 월급의 4.5%, 건강보험은 3.335%, 고용보험은 0.8%가 공제되죠. 그리고 건강보험료의 12.95%에 해당하는 장기요양보험료도 별도로 공제되니 꽤 많은 금액이 공제되는 셈이에요.
여기에 더해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도 공제되는데요. 소득세는 연간 소득에 따라 누진세율이 적용되고, 지방소득세는 소득세의 10%가 부과됩니다. 이렇게 공제되는 세금들이 월급 실수령액을 줄이는 주범이 되는 거죠.

실수령액, 연봉 인상과 별 상관없나요?

반응형

그렇습니다. 연봉이 올랐다고 해서 실수령액이 크게 늘어나지 않는 이유가 바로 세금 때문이에요. 2020년 연봉 인상률 평균이 5.3%로 나왔지만, 실제 월급 실수령액 변화는 크지 않았죠.
그 이유는 4대 보험료율이 계속 오르고 있기 때문이에요. 2010년부터 국민연금은 동결되었지만, 건강보험료와 고용보험료는 계속 인상되어왔죠. 특히 장기요양보험료는 3년 연속 인상되어 10.25%까지 올랐어요.
또한 소득세율도 일부 변경되었는데, 고소득자의 세율이 2%p씩 인상되었다고 해요. 이렇게 세금 부담이 계속 늘어나면서 연봉 인상 효과가 상쇄되는 거죠.
그래도 기분 좋은 소식은 최저임금이 2.5% 오른 것이에요. 최저임금 인상은 실업급여 지급 기준 상승으로 이어져 고용보험료 인상에도 영향을 미치죠. 연봉이 낮은 분들에게는 다행스러운 소식이 아닐까요?

월급별 세금 공제, 얼마나 될까?

반응형

그럼 이제 실제로 월급에서 세금이 얼마나 공제되는지 알아볼까요? 2024년 기준으로 연봉 2천만 원부터 1억 원 이상까지 단계별로 살펴보겠습니다.
연봉 2천만 원 선이라면 월 실수령액은 약 163만 원 정도 될 거예요. 4대 보험료와 소득세, 지방세를 모두 합치면 월급의 약 21%가 공제되는 셈이죠.
연봉 3천만 원대라면 월 실수령액이 220만 원 수준이 될 것 같아요. 이때는 세금 공제율이 약 26%로 조금 더 올라가네요.
연봉 4천만 원부터는 월 실수령액이 290만 원 선까지 올라가고, 세금 공제율도 28%로 높아져요. 고소득자로 분류되면서 소득세 부담이 커진 거죠.
1억 원 이상 고소득자라면 월 실수령액이 약 600만 원 수준이 될 거예요. 하지만 세금 공제율은 무려 40%에 달해요. 연봉이 늘어날수록 실수령액 증가 폭이 점점 줄어드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죠.

월급 공제 세금, 이렇게 계산되네요

반응형

이렇게 월급에서 공제되는 세금의 종류와 계산 방식, 그리고 연봉 수준별 실수령액을 살펴봤어요. 연봉이 올랐다고 해서 실수령액이 크게 늘어나지 않는 이유가 여기 있었네요.
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이렇게 세금을 납부하는 것이 우리가 건강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하는 거니까요. 세금은 국가와 사회를 위해 꼭 필요한 거라고 생각해요.
앞으로도 우리 모두가 열심히 일해서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갈 수 있길 바랍니다. 세금 부담이 크더라도 긍정적인 마음가짐으로 임했으면 좋겠네요. 함께 힘내요!

반응형

댓글